문재인 대통령은 취임 이래 일관되게 한반도 비핵화와 평화 구축을 강조해 왔습니다.
지난해 6.12 북미 정상회담, 9.19 남북 정상회담 등의 성과를 내는 과정에서 때로는 중재자로, 때로는 주도자로 역할을 하기도 했지만 지난 2월 북미 하노이 정상회담이 결렬된 이후 북한은 공개적으로 한국 정부 배제 입장을 밝혀왔습니다.
그럼에도 문 대통령은 기회가 있을 때마다 평화와 대화를 강조했기 때문에 일각에서 짝사랑이다, 끌려다닌다 등의 비판을 받기도 합니다.
하노이 결렬 이후 처음으로 북한이 미사일을 발사했던 5월 4일, 군 당국이 '단거리 발사체'라고 하자 야권에서 '미사일을 미사일이라 부르지도 못한다'는 비판이 나왔습니다.
문재인 대통령이 취임 2주년 특별대담에서 이 사안을 어떻게 보고 있을까 대통령 입에 관심이 쏠렸지만 북한은 보란 듯이 대담 4시간 전에 미사일을 또 쐈습니다.
문 대통령은 이를 '미사일 발사'로 규정하면서도 '유엔안보리 결의 위반'은 아니라는 입장을 밝혔고 남북 평화 경제 시대로 발전시키는 것이 목표라고 말했습니다.
문 대통령은 지난 6월 북유럽 순방 때도 한반도 평화를 강조했습니다.
노르웨이 오슬로대학 연설에서 "한반도 평화프로세스 정책이 북한의 핵미사일 도발을 중지시키고 군사적 긴장을 완화했다"고 말했습니다.
그러자 북한의 대외 선전매체인 메아리는 "주제넘은 헛소리에 도 넘은 생색내기”라는 제목의 글에서 문 대통령의 연설을 거칠게 비난했습니다.
북한의 잇단 도발에도 문 대통령은 입장 표명을 이어갔습니다.
한미 정상회담을 며칠 앞두고 진행된 국내외 7개 언론과의 서면 인터뷰에서 "북미 양국 간 3차 정상회담에 대한 대화가 이뤄지고 있다", "남북 간에도 다양한 경로로 대화를 지속하기 위한 대화가 이뤄지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하지만 바로 다음날 북한 외무성 국장 명의의 담화가 나왔고 "북미대화는 남한이 참견할 문제가 전혀 아니다, 남북 간 물밑 대화는 없다"는 내용이 담겼습니다.
문 대통령 발언과 북측 담화가 정면으로 상충됐지만 결과적으로는 문 대통령 말이 맞았습니다.
7월 1일 문 대통령과 김정은 위원장, 트럼프 대통령이 판문점에서 만나는 깜짝 이벤트가 성사됐습니다.
한국 정부의 관여와 중재 없이는 불가능했을 일로 평가됩니다.
비슷한 일이 8월 이후에도 반복됐습니다.
문 대통령... (중략)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01_201910251349457729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8585@ytn.co.kr, #2424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